중국, 원자재 대란의 원인및 대응방안 > Business

본문 바로가기

Business

  • HOME
  • HK Business focus
  • Business

중국, 원자재 대란의 원인및 대응방안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댓글 0건 조회 4,815회 작성일 04-05-15 10:25

본문

세계경제의 핫이슈로 부상한 원자재 대란의 원인으로는 세계 경기 회복에 따른 주요 공업국가의 원자재 수요 증가, 달러 약세에 따른 수익성 감소로 주요 원자재 생산국가 및 기업이 생산량 증대에 소극적으로 반응하는 것 등이 꼽힌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원자재 블랙홀’로 등장한 중국이 최근 원자재 수급난의 직접적인 진원지로 꼽힌다.

중국의 원자재난은 브레이크 없는 고도성장에 따른 수요급증으로 이미 예고된 것이나 다름 없다. 지난해 중국은 이라크전, 사스 등 연이은 악재에도 불구하고 9.1%의 경이적인 경제성장율을 기록했다. 또한 고정자산투자 증가율도 90년대 중반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인 26.7%에 이르렀다. 이러한 고정자산 투자 대부분은 제조업 생산라인 확충 또는 SOC 분야에 집중돼, 원자재 수요 증가의 직접적인 원인이 됐다.

특히 총통화 증가율(M2)이 19.6%에 달해, 중앙은행인 中國人民銀行의 연초 목표치 16%를 크게 넘어 섰다. 이렇게 시중에 풀린 자금중 상당부분이 산업현장에 설비증설 등에 집중 투자됐는데, 특히 주요 업체간 경쟁적 투자가 이뤄진 철강, 시멘트 등 업종에서의 원자재 싹쓸이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원자재란, 장기간 지속될 듯

한편 최근 원자재난 및 에너지난 관련 일부 중국학자들은 중국경제의 중공업화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로 보고 있다. 실제 1998년 55.2 : 44.8의 비율이었던 중공업대 경공업 비율은 2001년 중공업 비율이 처음으로 60%를 넘어서, 작년에는 그 비율이 64.3 : 35.7까지 벌어졌다.

이러한 급속한 중공업화는 필연적으로 석유, 석탄 등 에너지원, 철강, 비철금속, 고무 등 각종 원자재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켜 현재의 위기를 불러 일으켰다는 것이다.

중국의 낙후된 교통체계도 원자재난을 부채질하고 있다. 중국 최대의 에너지원인 석탄의 경우 중국내 철로를 통한 운송능력은 실제 수요의 60%에 불과한 실정이다. 한편 각종 원자재의 수입 증가에 따라 작년 중국내 항구의 화물 취급량이 18%나 증가해, 낙후된 중국의 항만 하역능력을 초과, 주요 원자재 하역항구에서 체선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중국발 국제 원자재 파동은 단기간내 해소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상당기간 동안 중국이 고속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는데다, 오는 2008년 북경 올림픽, 2010년 상해 엑스포, 서부 대개발 및 동북지방 재개조 사업 등 대형 국가 프로젝트가 줄줄히 추진되고 있어, 원자재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아이러니칼하게도 원자재 파동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중국도 원자재 대란의 고통을 겪고 있다. 중국 관련업계에 따르면 철강, 알루미늄 등 주요 원자재의 중국내 공급은 턱없이 부족해 웃돈을 주고도 구할 수 없을 지경이다.

작년 12월말 중국의 철강 가격지수는 연초에 비해 7.6%, 천연고무는 40%, 석유는 19% 증가했다. 금년 연초에도 가격상승이 계속돼 3월 현재 철강은 톤당 수백위엔씩 상승, 12월말과 비교 무려 14%나 올라, 역사상 가장 높은 가격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 또한 천연고무도 12월말 톤당 11,000위엔이었던 가격이 15,000위엔까지 상승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100%가 증가한 것이다. 석유가격도 역시 전년 동기 대비 30% 이상 올랐다.

특히 이러한 주요 원자재의 가격상승 분위기에 편승, 중간 유통상들도 작년 연말부터 매적매석에 나서 확보한 물량을 시장에 풀지 않아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원자재난 중국경제에 주름살 안겨

업계에서는 이 같은 원자재 가격폭등 현상이 지속될 경우 한계상황에 닥쳐 조업중단 또는 아예 공장 문을 닫는 기업들이 속출할 것이라는 우려섞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실제 중국내 강재가격이 최근 두달새 30% 이상 치솟으면서 오토바이 업체를 시작으로 산업계 감산이 본격화되고 있다. 유명 오토바이 메이커인 충칭리판(重慶力帆) 그룹 인밍샨(尹明善) 회장은 "이번 강재 파동으로 부품업체, 완성차 할 것 없이 수개월째 손실이 커지고 있다"며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는 "손실을 줄이려면 모두 감산하는 방법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리판 그룹에 따르면, 자사는 물론, 룽싱(隆興), 쟈링(嘉陵) 등 다른 오토바이 업체들이 이미 감산에 들어가, 중국내 오토바이 업체들의 감산 비율은 2월말 현재 10% 수준에 달했으며, 그 비율이 계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중국 물가당국에도 비상이 걸렸다. 원자재난으로 인플레 심리가 확산되면서 농산물에 이어 공산품 가격도 줄줄이 인상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주요 가전업체의 하나인 TCL은 원가상승 부담으로 금년에 출시할 에어컨 신제품 가격을 상향조정할 계획이다. 중국내 에어컨 생산업체 중 하나인 동양공조(東洋空調)는 석유, 강재, 플라스틱, 운송 등 생산원가의 상승으로 이미 일부 제품의 원가가 제품가격을 넘어서고 있어 부분적으로 제품가격을 최고 30%까지 올릴 예정이다. 이러한 가전업체의 가격상승 신호가 이미 가전시장에 전달되고 있으며 가전시장을 주도하는 궈메이(國美), 쑤닝(蘇寧) 등 주요 가전유통업체의 판매제품에서도 가격조정이 가시화되고 있다. 중국내 공산품 가격이 그동안 공급과잉으로 가격이 지속 하락되는 추세를 보여 온 점에서 보면 최근의 가격인상 추세는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다.

주요 제품의 가격 상승에 따라 중국 정부는 물가상승율을 지난해 1.2%보다 1.8% 높은 3%선에서 억제한다는 목표를 정했지만, 최근의 상황에서는 이러한 거시통제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중국 경제성장의 토대가 되온 물가안정 기조가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중국 무역수지면에서도 빨간불이 켜졌다. 중국 해관총서(海關總署)에 따르면 금년 2월 현재 중국의 수출은 전년대비 28.7% 증가한 698.7억불인데 반해, 수입은 무려 42% 늘어난 777.2억 달러를 기록, 79억 달러의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월 최초로 12.4억불의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한 이래 사상 최대규모이다.

특히 이러한 대규모 무역수지 적자는 원자재 수입의 대폭적인 증가에 기인하고 있다. 동기간중 원유, 철광석 등 원자재의 수입액이 168.2억 달러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64.9%의 폭등세를 보인 것이다.

그동안 거침 없는 질주를 해오던 중국경제는 원자재난이라는 최대의 복병에 맞닥뜨린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어려움이 중국업체 뿐만 아니라 현지에 투자진출한 우리업체들의 경영난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주요 원부자재에 대한 모국 의존도가 높은 투자기업들은 국내 원자재난에 따른 조달차질과 최근 해상운임 폭등에 따른 비용증가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더해 중국내 원자재 대란이 겹쳐짐에 따라 중국내 에서의 원자재 공급선 다변화 추진도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주요 원자재에 대해 바잉파워가 큰 대형 중국 로컬업체들의 사재기가 극성을 보임에 따라 우리기업은 웃돈을 주고서도 필요 원자재를 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구한다 하더라도 높은 가격 때문에 생산을 계속해도 경상비용도 건지지 못하는 심각한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고도성장에서 균형성장으로

최근의 원자재 및 에너지란이 초고속 성장의 부작용인 과잉투자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한 중국정부는 경제성장 속도조절에 나서고 있다. 지난 3월 5일 10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석상에서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는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 목표를 7%라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중국의 성장률보다 2.1%포인트나 낮은 수준이다. 고속성장에 따르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균형성장 쪽으로 경제정책 방향을 바꾸고 있는 것이다.

과열경기를 진정시키기 위해 중국정부는 과열업종에 대한 신규진입 제한, 에너지 및 자원 다소비 프로젝트의 중단과 대출제한, 조세우세정책 남발 금지 등 구체적인 조치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 경우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등 최근 원자재난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경기 과열업종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중국 철강협회는 금년도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이 중앙정부에 의해 15%선까지 하락될 경우, 중국의 철강수요 증가율도 작년 25.6%에서 올해 13%까지 둔화돼 원자재 수급난을 크게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중국정부의 투자억제책의 실효성에 대한 의구심을 갖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홍콩 中銀국제연구소는 개별업종별로 투자과열을 억제하는데 중앙의 행정정책만으로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중국정부가 각 업종별로 통제할 수 있는 범위가 각각 다르기 때문이다. 특히 철강부문의 경우, 이미 기업들의 내부 자금여력이 충분하기 때문에 은행대출 등을 필요로 하지 않아 대출 등을 통한 통제가 어려우며, 일부 자동차 조립생산 업종의 경우 외자기업 위주로 운영되고 있어 중앙정부의 행정 영향력이 비교적 약하다고 분석했다.

거시적인 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드는 가운데, 중국정부는 원자재난 해결을 위한 각종 미시적인 대책도 내놓고 있다. 중국정부는 이미 지난 10월부터 원자재 수급대책을 마련, 원자재 확보에 전력을 기울여 왔다. 석탄 등 자국의 주요 원자재 수출을 줄이거나 사실상 중단하고 부문별 원자재 수급을 조절하는 한편, 원자재 수출기업과의 합병이나 제휴를 통해 안정적인 공급원을 확보해 나가고 등 긴급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한편, 해외 자원확보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최근 중국은 세계 최대의 호주 광산업체인 BHP빌리턴과 90억달러 규모의 광산개발에 나섰고 원유 장기도입 계약을 체결하는 등 발 빠른 대응을 하고 있다. 또한 인도와는 원자재 바터 교환제가 추진중이다. 인도산 철강석 확보를 위해 타국에 대해서는 석탄 수출을 제한하면서, 인도와는 바터 교환제를 추진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중국내 원자재 수요증가가 당분간은 계속 증가할 전망이고, 세계 경기회복 추세가 완연하기 때문에, 국제적 원자재 수요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장기적인 원자재 비축 및 수급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단기적으로는 국내 원자재 수급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통해, 원자재 사재기에 의한 피해, 무리한 가격인상 및 담합, 일방적인 공급물량 축소 및 중단 등에 따른 제조업체 생산차질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해외 자원확보를 위한 투자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 실례로 일본의 경우 철강업계가 해외 자원개발 사업에 직접 뛰어들어 안정적인 조탈 루트를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지난 1월 신일본제철이 중국 텐진(天津)시에 코크스 생산 합작회사를 설립, 전세계적으로 수급난을 겪고 있는 코크스를 연간 30만톤이나 우선적으로 거래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한 것은 우리 정부나, 기업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F, Tern Centre, Tower 2, No.251 Queen’s Road Central, HongKong
Tel : 852-2815-0881 (12Lines) Fax : 852-2815-7725, 2815-7730, 8148-8597
E-mail : jgchung@sungsim.com.hk

Copyright © SUNG SIM SERVICES LIMITED. All rights reserved.